검색결과 없음
구글와(과) 일치하는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제안:
- 모든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지 확인하세요.
- 다른 검색어를 사용해 보세요.
- 더 일반적인 검색어를 사용해 보세요.
구글와(과) 일치하는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제안:
아이폰 크롬 버전이 업데이트 된 이후, 검색 시 자판 위에 흥미로운 버튼이 생겼어요. 음성검색이라며 자신감 있게 만들어 놓은 버튼. 그간 이런저런 음성 인식률들을 봐왔기에 반신반의하며 눌러 보았음.누르는 순간 생각했었던 그대로의 음성 검색을 만나게 된다. 놀랍게 간편하다. 심지어 띄어쓰기까지 인식해낸다. 여러 검색어 중 외래어를 가끔 못잡은 것 빼곤 완벽했다. 아마 성우가 쓴다면 100% 인식률를 보일 정도이다. 구글은 정말 큰 그림을 그리는 기업인 것 같다. 한 가지 미션에 집중해 불가능해 보이던 청사진을 그려간다. 멋지다. ps. 모바일에서 크롬 브라우저를 설치해야 해당 버튼이 보입니다.
요즘 생각만 하면 잠이 잘 오질 않는다. 어제는 또 미래의 컴퓨터에 대해 몰입했다. 몰입은 좋은 거지만 밤엔 정말 자고 싶을때도 있다. 그래도 이런 것들이 다른 사람과 차별화된 내 강점이라 생각한다. 대학시절부터 존경하는 교수님이 계신다. 당시 멀티미디어 관련 공학 석사과정을 끝내고 박사 과정을 향하고 계셨고, 그때 들었던 한마디가 불현듯 생각났다. "미래에는 컴퓨터가 우리들 몸의 일부가 될꺼예요.""agent라는 개념이죠""당신의 헬스 케어나 운전 등 잡무를 대신해서 해주는 미래의 PC입니다." 과연 어떤 형태로 몸의 일부가 되는 거냐며 몰입을 한 결과. 뚜렷한 형태는 생각해내지 못했다. 아마 몸에 인식하는게 가장 이상적일거란 생각이다. 하지만 그때 가장 근접한 구글 안경이 생각났고, 그 안경으로 만들..
최근 다음 EBS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영상을 접하고 있습니다. 예전엔 학교생활을 하며 매일매일 번뜩이는 새로운 정보를 얻는 느낌이 있었는데. 어느순간 그런 요소가 사라진 사실을 인식하고 방법을 찾다 이런 교양프로그램을 보게된 것 같네요. 그 중 눈에 띄는 몇 가지를 보고 있는데. 이번에는 '창의성'과 관련된 부분에서 수많은 영감을 얻었습니다. 누군가 내게 '창의성이 무엇이냐' 라고 얘기한다면 말문이 막힐텐데. 애매한 창의성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창의성을 갖고 있다 누구나 창의성을 갖고 있고, 천재적인 아이디어는 창의성 보다는 기존의 지식을 모두 익힌 상태에서 나온다는 사실. 즉, 99%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에디슨의 말을 이제서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그 중 1%가 우리가 ..
한달 전 구글로 부터 애드센스 부정클릭으로 계정이 비활성화 되었어요.워낙 방문자가 적었기에 이따금 자가 체크한게 화근이 된 것 같습니다 임시방편으로 리얼센스를 세팅하였습니다. 예전에는 블로그에 광고를 다는게 올바른가에 대해 고민했으나이제는 광고 위치에 익숙해졌기에 컨텐츠 상단이나 하단에 가독성을 저하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그리드에 맞춰 넣으면오히려 보기 편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보시다시피 수익성을 바라고 하는 블로그가 아니지만,왠지 트랜드, 유행 같은 느낌이라 달게 되네요.그리고 작은 정성을 몇달 뒤 보답받는 느낌도 들구요. 모쪼록 대안을 찾지 못하신 분들 아마 이게 현재 상황에선 최선책인 것 같네요. 상단에 두개의 박스를 정렬하는 방법은 리얼스토리 블로그에서 참고하였습니다.
2. 웹마스터 도구에서 크롤링 속도 바꾸기 왼쪽 메뉴에 있는 '크롤링 속도'를 클릭합니다.이 크롤링 속도는 말 그대로 구글봇이 사이트내의 페이지들을 크롤링 해가는 속도입니다.사이트나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라면 이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좋겠죠.대신, 트래픽은 좀 늘어납니다. 트래픽양이 문제가 되시는 분은 그냥 '기본형식'으로 두시기 바랍니다.트래픽 양이랑 전혀 상관 없으신분들은(거의 모든분들) '빠름'으로 고쳐놓는게 좋습니다.구글봇이 자주 많이들어와서 크롤링 많이 해간다고 해서 나쁠건 없습니다.그리고 나중에라도 구글봇 때문에 트래픽 양이 부담되신다면 얼마든지 '기본형식'으로 바꿀수 있습니다.그런데 '빠름'에 체크를 할수없게 돼있어서 속도를 바꿀수가 없습니다.이럴때엔 자바스크립트를 써서 어거지로 ..
구글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 주소 : http://www.google.com/webmasters많은 사람들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사이트 및 블로그를 운영하겠지만, 일단은 사용자의 분류를 ftp 사용이 가능한 개인/기업 사이트(그누보드) 및 블로그(태터툴즈) 사용자를 통틀어 'ftp사용자', 그리고 '티스토리 사용자'로 나누겠습니다.준비사항 :1. rss feed 주소 (사이트 디렉토리 최상위에 위치하고 있어야함 예) http://www.bmlee.com/rss.php)2. sitemap.txt 파일 (이것또한 디렉토리 최상위에 위치하고 있어야함 예) http://www.bmlee.com/sitemap.txt)3. 구글 웹마스터 도구 로그인 아이디 (계정 만드는건 공짜입니다.)>티스토리 사용자 께서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