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없음
컬럼와(과) 일치하는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제안:
- 모든 단어의 철자가 정확한지 확인하세요.
- 다른 검색어를 사용해 보세요.
- 더 일반적인 검색어를 사용해 보세요.
컬럼와(과) 일치하는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제안:
[스크랩]연봉 1800으로 사회생활 시작하신다고요? 위 글을 읽고 엄청난 공감을 느꼈습니다. 하지만 그 아래 달린 댓글을 보면서 반대 의견에도 공감이 되더군요. 한번쯤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싶었는데. 좋은 글 덕분에 제 생각 중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을 수 있었어요. 위의 글 내용은 간단합니다. 현재 20%의 구직자들은 대기업에 입사하며 높은 연봉과 복지 혜택을 누리며 근무합니다. 대부분 구직자가 대기업에 꿈을 꾸지만 그런 소수가 아닌 나머지 80%의 사람들은 중소기업을 바라 보아야만 하는게 현실입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을 보면 경쟁력이 없어 보임에도 (대기업이 대한민국을 지배한다는 시선에서) 저렴한 1800만원이 연봉 기준을 내새웁니다. 게다가 연봉에 퇴직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이처럼 불합..
25세 대학졸업예정자, 경기도의 한 대학교을 다녔고, 칼복학으로 남들보다 빠르게 졸업과정을 밟았다. 그리고 올해 초 학교에서 제공되는 실습으로 한 업체를 3개월간 다녔다. 그곳에서의 경험은 아직도 많은 도움이 된다. 실습이 끝나고, 영업직 쪽으로 채용을 권유하였지만 사실 영업은 나와 안맞거니와 첫직장은 꼭 하고 싶은 곳으로 들어가고 싶었다. 이게 얼마나 배부른 소리던가...;; 이름없는 기업을 포함하면 일자리는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기업의 비전과 나의 목표를 일치하는 직장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4개월이 지나고,, 처음에는 그랬다. 대기업에 원서도 한번 넣어보고, 지금 취업란이 얼마나 힘들기에 그럴까? 라는 도전의식이 샘솟았다. 그렇게 원서를 쓰기 시작했고, 현재까지 약 10여군데 업체에 지원을 하였다..
옥션 해킹사태를 처음 접한건 금일 아침입니다. 엊그제 왜 실시간 검색어에 올랐나 했더니.. 결국 대규모 신상정보가 유출되었군요. 그런데 몇몇 기사에는 원인에 대한 언급은 특별히 없고, 소송에 관한 얘기만 잔뜩되어 있더군요. (물론 아직 옥션측에서 정확하게 해명하기엔 짧은 시간이였겠죠) 막연히 읽고, 이번 사태에서 잊지 말았으면 하는 점에 대해서 기술해 봅니다. 소정의 신문보도만 읽고 작성한 글이니만큼 빈약한 글임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1. 사태를 숨기지 않았다. 어찌보면 당연한 얘기지만 그 정도 규모의 사건을 쉬쉬 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번 옥션의 자발적인 태도는 그나마 잘 대처한 듯 싶습니다. 지금 피해자들에게 가장 중요한건 자신의 정보유출을 막기 위해 인지하고, 다음 절차들을 따라야 하는..
최근에 실습을 나가고 있다. 사실 처음나가는 회사이고, 오래 다니지 않아서 이런 글을 쓸 자격이 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좋은 얘기를 하나 들어서 써보고자 한다. 회사는 수익을 창출하는 곳이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비춰지는 회사는 학교를 졸업하고, 돈을 벌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기위해 가야하는 곳이라고 인식되는것 같다. (적어도 필자 생각에는 말이다.) 회사를 나가면서 좋은 점은 생활이 규칙적이라는 것과 관련된 업무를 익히고 다듬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기존의 조직에 길들여진 본인을 또다른 조직에 길들일 수 있다는 것! 즉 그동안 해온 관습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능력을 키우고 금전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에게는 긍지와 자부심, 보람을 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필자는 분야가 약간 다르다..
한살 한살 먹을수록 걱정되는 것이 있다. 바로 '주관'이라 불리는 가치관이다. 최근 이런 생각을 하게된 경위는 친구들을 보면서이다. 각자 많은 것들을 경험하고 배우면서 자기가 아는 것들에 대해서 얘기하다보면 잦은 마찰이 생긴다. 특히 지난 대선을 앞두고 그런 경향을 많이 보았던 것 같다. 본인이 알고있는 '주관'이라는 것은 자신의 기준에 따라 정해진 자신의 의견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가진 실수는 자신의 주관을 다른 사람도 똑같이 갖고 있을것이라는 믿음이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마찰이 생겨나는게 아닐까? 물론, 말이 잘 통한다는 사람들은 이런 주관이 비슷할 것이다. 그렇지만 그 외의 경우도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그런 일들로 본인은 주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보았다. 필자도 내 생각을 다른..
제 생각을 적고자 합니다. 물론 다른 분들의 의견과 다른 부분도 있고, 공감하는 부분도 있을 것입니다. 이런 글을 쓰는건 한 사이트의 게시판에서 본 글들 때문입니다. 인터넷 상에서는 유독 한 후보자를 지지하는 층이 많았고, 이는 여론과는 다른 현상이였죠. 아무래도 인터넷을 이용하는 젊은 층이기에 그러지 않았나 싶습니다. 아무튼 그 사람들이 이젠 불만을 토하는 무리도 있고, 인정하는 무리들도 있습니다. 몇일전 TV에서 '쌈'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보았습니다. 하남시의 '국민소환'에 대한 주제의 영상이였지요. 저도 '국민소환투표'라는게 굉장히 낯설었지만 그 프로그램은 정말 유익하게 보았습니다. 프로그램을 쉽게 풀이하면 하남시장을 탄핵하자고 국민들이 모여서 발효한 투표였습니다. 그 방송에서 말하기로 대한민국에서 ..
오늘 도서관에 가서 느낀 점입니다. 자라오면서 엄청난 주입식 교육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전 그쪽에 자질이 없어서 특기에 매진한 케이스입니다. 순리?를 좀 어긴 격이죠~ ^^ 사실 암기를 잘 못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암기는 타고난 것 외에도 노력에 따라 성취되는 부분이긴 하지만 말이죠. 거두절미하고 한국 사회에서 암기식 교육이 지향하는 목표에 대해서 의심이 갑니다. 특히, 한국은 인적자원 외에는 특별하게 내세울 만한 자원이 없습니다. 지금 인정받기 시작한 기술력 또한 인재에서 나오고, 여지껏 큰 힘을 보여준 한강의 기적 또한 한국인의 인적자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제품생산이 아닌 지적생산을 요구하는 만큼, 앞으로는 창의력, 창조력을 보유한 천재 인재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우리 학교(한국산업기술대) 학보에 나온 글입니다. 엄청나게 잘 쓴 글이라고 생각되지는 않지만 제가 그동안 생각해온 부분이 들어가 있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인맥에 관한 부분입니다. '한국 사회는 주로 인맥이 중요하다' 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물론 한국은 술자리 문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뭉치는 방식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가 큰 자산이 됩니다. 하지만 이 이면에는 자기 자신을 잃어가는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됩니다. 인맥만을 중시하며 인맥을 살리지만 정작 필요할때 도와주지 못하는 인맥도 많고, 인맥 만들기에 너무 투자해서 자기 자신에게 투자를 소흘리 하는건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필자는 인맥이 너무 없는게 흠입니다. 예전에는 정말 둥근 성격으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타입이였지만 어느새 ..
작성자 : 심우상, 소속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이 글은 수업에 관련되어 기술한 글입니다. 각 신문들의 기사를 인용하여 개인의 생각을 피력해 봅니다. 우리나라 재계 1, 2그룹의 총수가 차례로 한국경제를 우려하는 발언을 내놓았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최근 인터뷰에서 "중국은 쫓아오고 일본은 앞서가는 상황에서 샌드위치 신세여서 이를 극복하지 않으면 고생을 많이 해야 하는 것이 한반도의 위치", "심각하다. 삼성전자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가 문제"라며 "정신을 차려야 한다. 5-6년 뒤에는 아주 혼란스러워질 것이다"고 발언했다. 뒤이어 정몽구 현대·기아차 그룹 회장도 “일본업체는 주요시장에서 우리에 대한 견제수위를 더욱 높여가고 있고, 중국 등 후발업체들은 빠른 속도로 턱밑까지 추격해오고 있다", "세계 ..
2007/10/17 - 자체 브랜드 품질 높여 40% 싸게 이마트발 가격 혁명'을 읽고, 이마트가 PL(Private Label, 자체 브랜드)상품을 동일 상품군 1위 브랜드 상품과 나란히 진열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는 유통업체 입장으로 장기적인 수익성 측면에서 옳바른 일이라 생각한다. 일단 외국의 유통업체도 이런 수익모델을 이용하여 수익을 내고 있고, 영국에서는 100% PL제품을 판매하기도 한다는 통계치가 나열되어 있다. 한국에서 이런 대형유통업체(이마트)의 행로는 1위 브랜드와 경쟁구도를 가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가격조절의 기능, 우수한 상품의 품질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기존까지는 1위 브랜드의 선점효과와 한국의 복잡한 유통구조에 의하여 높은 가격, 경쟁없는 제품의 품질을 유지..